본문 바로가기
기계설비 기초

배관 시공 준비, 배관의 구배, 옥내 배관의 지지 및 고정, 옥내 배관의 간격

by 쏙쏙정보박사 2023. 2. 20.

출처 배관공학

배관 시공 준비

배관의 위치는 시공도에 따라야 하겠지만 배관 전체를 살펴서  급. 배수 배관 냉. 난방 전기 배관 조명 연도 등과의 교차 및 구배 등을 상세히 살펴야 한다. 배관의 위치는 기능적인 면과 시공 및 유지 관리면에서 우선순위를 정하며 자연 순환식일 때에는 굽힘부를 되도록 적게 하고 배관 구배를 엄격하게 지킴은 물론 우선적으로 위치가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누스가 되면 밑의 물건을 더럽게 하거나 전기 배선 등이 있을 때에는 위험하므로 구배를 아래쪽으로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보수면 등을 고려하여 전기배관 덕트 연도 등은 위쪽에 하며 누수의 염려가 있는 것은 아래쪽으로 하는 것이 좋다. 
콘크리트 바닥이나 벽에 매설하는 배관에는 콘크리트를 치기전에 먼저 필요한 위치에 슬리브를 장착하여 해머 드릴 기타 정 등으로 공사 후 구명을 뚫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슬리브 재료에는 금속제 합성수지제 목재 등이 있으며 금속제 이외의 것은 반드시 배관하기 전에 장착하여야 한다.
매달기 및 지지쇠 장착은 건축의 진행과 같이 이루어져야 하며 건축의 기준 금긋기가 끝나면 시공도에 따라 배관의 관련 금 긋기를 하고 매달기 및 지지쇠 장착위치를 명시하고 콘크리트 다지기 이전에 고착시켜 관의 지지에 충분한 강도와 연결에 편리한 구조로 한다. 또한 익스팬딩 볼트나 드라이핏 등의 매설 볼트는 콘크리트 치기를 만료한 후에 구명을 뚫어 작업하나 전선용 배관 등에 잘못 구명을 뚫지 않도록 사전에 협조가 이루어져야 한다.

배관의 구배

 건축설비의 배관은 모두 구배가 있어야 하며 통수시에 공기삐기를 위한 것이다. 또한 수리 시 물을 빼기 위한 것 등이 필요하므로 배관 구배에 주의하여야 한다. 급탕 온수배관 시 자연순환식일 때는 급수관과 환수관의 온도차에 의한 순환력을 이용하므로 열원으로부터 급수관은 일정한 상향구배로 하고 환수관은 열원을 향하여 하향구배고 하며 강제 순환일 때도 이에 준한다. 특히 자연순환식일 때는 공기 빼기에 유의한다. 배수배관은 특별히 하향구배로 하여야 하며 구배가 좋지 않으면 고형물 등이 남게 되어 통수에 영향을 주게 되며 배관 구배가 완만하여도 같은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한유속과 구배를 신중히 교려 하여야 한다. 가스 배관에는 가스중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수분이 응축하여 관 바닥에 모이게 된다. 다라서 적당한 곳에 드레인을 설치해 주고 드레인이 완료된 후부터 하향구배로 한다. 급탕 배관의 상향 공급식에서는 급탕 수평주관은 상향구배로 하고 환탕관은 하향구배로 한다. 배관구배는 중력 순환식 1/150 강제 순환식은 1/200~1/300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옥내 배관의 지지 및 고정

외부 또는 자체하중에 의하여 과대한 변형이나 응력이 생기지 않도록 신축이 자유롭게 하여야 하며 충분한 강도와 방진의 효과도 생각해야 한다. 인서트를 사용할 때는 드라이핏의 지름은 4mm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매달기 볼트의 경우에는 9mm 이상의 것을 사용하고 롤러 사용시에는 외전이 원활하고 강도가 충분한지를 확인하여야 하며 방진을 필요로 하는 곳은 대체로 지지쇠에 방진고무 등을 넣어 충분한 방진성과 강도를 갖고 있어야 한다. 지지 시에는 중량 밸브나 트랩 등 특수 밸브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와 배관에 곡관부가 있는 경우에는 되도록 가까이에서 지지하며 분기관의 경우에는 신축을 고려하여야 한다. 관을 지지하는 방법은 고정하는 방법과 방진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수직 배관일 경우 바닥은 1개소씩 지지하고 대체로 부철관 및 강관은 3.5m 이내 염화비닐관 및 동관은 2m 이내로 한다. 배관의 지지간격은 층간 변위 수평방향의 가속도에 대한 응력 필요한 경우는 좌굴응력을 검토해서 지지 구간 내에서 관이 진동하지 않도록 적절한 간격을 설정하여야 된다.

옥내 배관의 간격

 배관 이음의 간격은 나사이음시 부속이나 밸브를 조이는데 필요한 간격 플랜지 이음시 볼트너트의 조임 필요간격 주철관의 납 코킹을 위한 작업간격 패킹 교환 수리간격 등이 필요하다. 이때 배관 작업 간격은 통상 100mm로 하며 외전 이음시 최상단부보다 20mm 정도의 여유를 주고 배관 완료후에 실시되는 방호 보온 피복의 작업 공간은 60~100mm가 필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