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계설비 기초

강관 나사 이음, 용접 이음, 플랜지 접합, 관 절단

by 쏙쏙정보박사 2023. 2. 19.

스테인리스 강관 삽입 방법 출처 배관공학

강관을 접속하는 방법에는 나사접합, 용접접합 플랜지 접합 등이 있다.

나사이음

관에 나사를 내어 연결시키는 이음이며 수동용 나사 절삭기에는 오스터형 리드형 비바형 등이 있고 래칫을 이용한 것이 많다. 80A 이하의 관에서는 오스터를 이용하나 100A 이상의 대구경에서는 호브나 다이헤트에 의한다. 건축설비의 관용나사는 테이퍼 나사이며 테이퍼는 1/16이다. 접합 시에는 마나 광명단 또는 경성 페인트가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테프론 테이프 등이 쓰이고 있다. 강관의 배관길이는 조여지는 길이를 계산하여 정확한 치수를 잡아 관 축에 직각으로 절단하고 나사를 낸다. 이음부는 연결하기 전에 와이어 브러시 등으로 청소한 후 시일제를 바른다. 시일제를 바른 후 약간 건조시키는 것이 좋으며 테이프는 나사홈의 조임 방향으로 감는다. 테이프는 나사간이 묻힐 정도가 좋으며 너무 부족하거나 너무 많아도 안된다. 관을 조일 때에는 파이프 바이스에 관을 고정시킨 후 먼저 손으로 돌리어 손으로 더 이상 돌아가지 않을 때까지 조인다. 작은 지름의 것은 파이프렌치나 스패너 등으로 끈지름의 것은 체인 파이프 바이스 등으로 조인다. 조임은 너무 조이지 말고 1~2 산 정도 남겨 놓는다.

용접이음

강관의 용접 접합에는 가스 용접과 전기 용접이 사용된다. 가스 용접은 용접속도가 느리고 변형의 발생이 크므로 비교적 얇고 가는 관의 접합에 사용된다. 전기 용접은 가스 용접에 비하여 용접속도가 빨라 변형도 적고 용입도 깊으므로 일반적으로 두껍고 굵은 관의 맞대기 플랜지 슬리브 용접에 사용된다. 용접 이음은 누설의 염려가 ㅇㅄ고 시설의 유지 관리 등의 비용이 절감되며 보온 피복할 때에 돌기부가 없으므로 시공이 용이하다. 도한 파이프 단면에 변화가 없으므로 유체의 와류 난류도 없고 솔실수도도 적으며 접합부의 강도가 커서 배관 용적을 축소시킬 수 있다.

맞대기 용접은 이을 때 보조물이 필요없고 관 지름의 변화가 없어 저항이 적다. 누설의 염려도 없고 용접이 완전하며 파이프 재료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용접 시에는 파이프 이음단의 용접홈과 루트 간격을 바로 잡아 가급적 하향 자세로 용접한다. 파이프 내에 용착 금숙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주의를 해야 한다. 맞대기 이음시에는 바닥에 파이프를 2개 놓고 그 위에 용접할 파이프를 놓고 하거나 앵글 위에 파이프를 올려놓고 작업하면 맞대기면이 잘 맞는다. 용접 시에는 가접을 확실히 야여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슬리브 접합은 누설의 옆려가 없고 배관용적이 작아도 되며 외관이 아름다우므로 분해할 필요가 없는 반영구 적인 파이프 이음에 사용된다. 슬리브의 한쪽은 미리 공장에서 용접하고 나머지 한쪽은 현장에서 용접하나 위보기 자세나 수평 자세의 경우에는 현장에서 하향 자세로 용접할 수 있도록 용접 대상에 주의한다. 슬리브의 길이는 파이프 지름의 1.2~1.7배로 하고 파이프 끝은 슬리브의 중앙에서 서로 밀착되게 한다. 파이프 용접이음은 누설이 없고 시설의 유지 보수비가 절감되며 보온 피복시 시공이 쉽다. 또 용접부의 강도가 크고 돤 단면에 변화가 없어 손실 수두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플랜지 접합

용접 접합과 나사 접합이 있으며 주호 용접 접합을 사용한다. 용접 플랜지 접합은 파이프 내면도 용접하므로 파이프의 길이는 플랜지의 접촉면보다 파이프의 두께만큼 짧게 한다. 플랜지 접합시에는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하다. 플랜지는 볼트를 결합하기 쉬운 위치를 선택하여 장치하고 다수의 파이프가 나란히 있을 때는 플랜지의 위치를 변경하여 배관 용적을 감소한다. 탱크 장치의 파이프로서 플랜지가 스터드 볼트 결합의 경우는 파이프의 분해가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배관하여 둔다. 지름이 큰 파이프는 될 수 있는 한 스트레이트 파이프를 종장에서 플랜지 맞춤하여 벤트 파이프를 현장에서 맞춘다. 플랜지가 한쪽만 조이는 일이 없도록 볼트는 대칭적으로 조이고 볼트의 길이는 결합한 후 그 나사 봉우리가 남을 정도로 한다.

관 절단

수동용에는 파이프 크터와 쇠톱이 있으며 파이프 커터로 관을 절단하면 관 내면에 거스러미가 생기므로 반드시 리밍을 해야 한다. 동력용 관 절단기에는 기계톱과 고속 숫돌 절단기가 있는데 기계톱에는 핵 소잉 마신 둥근 기계톱 때톱기계 휴대용 띠톱개계 등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