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정수 방법의 침전법, 여과법, 살균법 상수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수법에는 침전법, 여과법, 살균법 등이 있다. 정수법이란 자연수를 보건 위생상 해가 없는 물로 처리하는 것을 말하며, 음료수로는 병원균 등의 세균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물론 유기물이 함유되지 않고 냄새가 없고 맛이 좋으며, 경도가 낮아야 한다. 물의 경도는 물속에 포함된 탄산칼슘 등 광물질의 함유량을 기준으로 표시한다. 즉, 탄산칼슘이 물속에 100만 분의 1이 포함되어 있을 때, 이것을 1ppm이라 한다. 음료수는 90~110ppm이 적합하고 300ppm을 초과 아여서는 안된다. 또한 물은 경도에 따라 연수와 경수로 나뉘며, 90ppm 이하의 물을 연수 110ppm이상의 물을 경수라 한다. 상수도에서 일반적으로 침전법, 여과법, 살균법 순서를 한조로 하여 정수하나 철분이.. 2023. 2. 8.
물질의 삼태 융해, 응고, 기화, 액화 융해 고체가 가열되어 액체로 바뀌는 것을 융해라고 하며, 융해할 때의 온도를 융해점 이하고 한다. 얼음의 융점은 0℃인데 얼음은 융해되기 시작하여 모두 녹을 때까지 온도는 오르지 않는다. 이것은 얼음을 녹이기 위하여 많은 열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며, 1g의 고체를 같은 온도의 액체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량을 그 물질의 융해열이라고 한다. 얼음의 융해열은 79.7㎈이며, 0℃의 얼음 1kg을 0℃의 물로 바꾸는 데는 79.7㎉의 열이 필요하다. 응고 액체가 냉각되어 고체로 바뀌는 것을 응고라고 하며, 응고할 때의 온도를 응고점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응고점과 융해점은 같은 온도에서 응고하며, 융해열과 동등한 응고열을 나타낸다. 응고열이 작은 것은 흩어지기 쉬우며, 녹은 액체가 곧 굳어지는 것은 액체의 응고열.. 2023. 2. 8.
열 기초의 열과 에너지, 에너지 불변의 법칙, 물체의 상태변화, 전열 열 기초 개념이 확립되면 일상생활에서 경험으로만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도 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는 열이 많다, 적다, 또는 열이 높다, 낮다는 말을 흔히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열의 현상을 수치로 나타내거나 이론적 결론을 유도하려면 열에 관한 구체적인 '열의기초' 개념이 머릿속에 확립되어 있어야 가능하다. 이론적 기초개념이 없이 막연하게 경험먄을 내세워 손쉽게 해결책을 모색하려 하다가는 자칫하면 예기치 않은 오류를 범하여 사간적으로나 금전상으로 큰 손해를 보는 일이 허다할 수 도 있다. 열과 에너지 열을 다루는 일은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열 공학적 지식을 도입해야 합리적 해결책이 가능하다. 열은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작용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에너지라 부른다.. 2023. 2. 8.